• worldwide leader in global logistics

News Letter 목록

News Letter

BNX Market News【Week 26】

Page Info

Writer BNX Date25-06-30 15:39 View6Times Reply0

Content

c794d0f0126e7ded8d9c29e18158a752_1724999268_9925.png



컨테이너 운임, 중국발 북미향 하락 지속...드류리 조사

아시아발 북미향 운임 하락이 지속되고 있다. 영국 해사조사기관 드류리가 26일 발표한 세계 컨테이너 운임 지표 WCI에 따르면, 상하이발 스팟 운임은 LA향이 2주 연속 전주 대비 20% 하락했다. 운임수준은 5월 마지막주와 비슷한 수준으로 후퇴했다. 뉴욕향도 2주 연속 하락했다고 일본해사신문은 전했다.

WCI 세계 평균을 나타내는 종합지표는, 26일 발표가 전주 대비 9% 하락한 2983달러(40피트당, 이하 동일)였다. 중국발 유럽향은 상승을 유지했지만, 북미향 하락 지속이 영향을 미쳤다.

26일 북미항로는 상하이발 LA향이 전주보다 20% 하락한 3741달러, 상하이발 뉴욕향이 13% 하락한 5703달러였다. 6월 들어 주요 컨테이너 선사가 북미서안을 중심으로 선복 공급을 되돌림으로써 수급이 완화돼 서안향의 하락폭이 크다. 서안의 큰 폭의 하락이 동안으로도 파급을 강화하고 있다.

미중 보복 관세로 중국측에 유치(留置)됐던 화물이 5월중에 전부 나가자 그후는 중국발 수요 둔화도 반영돼 운임이 급락하고 있다. 상하이항운교역소(SSE)가 20일 발표한 상하이발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미국서안향이 2주 연속으로 30% 하락해 거의 미중 관세 합의전 수준인 2700달러대까지 하락했다. 서안향은 드류리, SCFI 모두 6월초에는 5000달러대 후반을 기록했다.

드류리의 26일 유럽향 운임은 상하이발 로테르담향이 1% 상승한 3204달러, 상하이발 제노바향도 1% 상승한 4100달러로, 모두 2주 연속 상승했다. 북미향 운임 하락으로 상승폭은 전주보다 축소됐지만, 각 선사가 북미항로로 선박을 되돌림으로서 견고한 추이를 보였다.

<출처: 쉬핑뉴스넷 06.28.2025>



구주항로/ 성수기 대응 운임회복 담금질 성과 봤다

성수기와 공급량 감소에 발맞춰 선사들이 진행한 운임 회복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

중국 상하이해운거래소가 6월20일 발표한 상하이발 북유럽행 운임은 20피트 컨테이너(TEU)당 1835달러로, 전주 1844달러 대비 0.5% 하락했다. 5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전월 평균치와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다. 6월 3주 북유럽 평균 운임은 1782달러를 기록, 전달 평균인 1304달러와 비교해 36.7% 올랐다.

5월 초 1100달러 선까지 내려앉은 북유럽 운임은 이후 상승곡선을 그리며 1800달러 선까지 회복했다. 북유럽 운임이 1800달러를 웃돈 건 4개월 만이다. 같은 기간 지중해행 TEU당 운임은 전주 3190달러 대비 4% 내린 3063달러로, 2주 연속 하락했다. 6월 3주 평균 운임은 3185달러로, 5월 평균인 2390달러보다 33.3% 상승했다.

한국발 운임(KCCI)은 4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한국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6월23일 기준 부산발 북유럽행 운임은 40피트 컨테이너(FEU)당 2932달러를 기록했다. 6월 4주 평균 운임은 2558달러로, 5월 평균 2034달러보다 25.8% 상승했다. 같은 기간 지중해행 운임은 FEU당 4490달러로 집계됐다. 6월 4주 평균 운임은 4176달러로, 전달 평균 2957달러보다 41.2% 급등했다.

프랑스 CMA CGM은 아시아-북유럽항로에서 20피트 컨테이너(TEU)당 250달러의 성수기할증료(PSS)를 6월16일부터 부과했다. 덴마크 머스크도 아시아발 지중해행 노선에서 TEU당 500달러의 PSS를 적용했다. 이 밖에 일본 ONE은 7월1일부터 9월30일까지 ‘유럽 환경 할증료(EES·Europe Environment Surcharge)를 새롭게 부과한다.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에서 북유럽·지중해로 향하는 20피트 컨테이너 화물을 대상으로 57달러 22달러의 할증료를 각각 적용한다고 밝혔다.

선사들은 운임 인상 노력과 더불어 공급량이 감소한 것도 시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지난 5월 미국과 중국이 관세 유예에 합의하면서 유럽항로에 배선됐던 30여 척의 컨테이너선이 북미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해양진흥공사는 “6월1일 진행된 선사들의 운임 인상과 주요 항만 혼잡으로 운임이 급등했다. 또 선사들은 미주항로 수요 급증에 대응하고자 유럽항로에서 선복을 감축하고 있어 운임 상승 압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물동량은 한 달 만에 증가세를 보였다. 영국 컨테이너트레이드스터티스틱스에 따르면 2025년 3월 아시아 16개국발 유럽 53개국행(수출항로)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10.4% 증가한 160만3200TEU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동남아시아 지역은 3월 한 달간 전년 대비 2.9% 늘어난 22만3300TEU의 컨테이너를 유럽으로 수출했다. 중국 역시 14.2% 증가한 121만8400TEU를 기록, 물동량 증가세를 이끌었다. 반면, 우리나라가 포함된 동북아시아는 4.4% 감소한 16만1400TEU였다.

<출처: 코리아쉬핑가제트 06.30.2025>



트럼프 "모든 국가에 관세 서한 보낼 것…25~50% 또는 10%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다음 달 8일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시한과 관련, "우리가 할 일은 모든 국가에 서한을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다가오고 있는데 어떻게 할 계획인가'라고 묻자 "아주 간단하다. 우리는 편지를 보낼 것이다. 나는 지금 하는 게 더 나을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발표한 무역 상대국별 상호관세를 효력 발생일인 같은 달 9일 90일간 유예했고, 이후 미국은 국가별 무역협상을 벌여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언급은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그는 무역협상 대상 200개국과 모두 협상할 수는 없다면서 앞으로 보낼 관세 관련 서한이 "무역 협상의 끝"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일본에 대해서도 "서한을 보낼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일본이 미국산 자동차를 많이 수입하지 않는 대신 미국은 수백만 대의 일본 차를 수입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 "그것은 불공평하다. 나는 그것을 설명하고 일본은 그것을 이해한다"며 "우리는 일본과 큰 무역적자를 갖고 있고, 그들은 이해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현재 우리는 석유가 있다. 그들은 많은 석유와 다른 것들을 수입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기본적으로 나는 지금 당장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모든 국가에 편지를 보내 우리가 가진 무역적자나 어떤 문제든 살펴보겠다고 설명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만나지 않아도 된다. 우리가 할 일은 서한을 보내고 '축하한다. 미국에서 살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25%, 35%, 50% 또는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이 자체적으로 분석한 무역 불균형 이유에 따라 최대 50%의 상호관세를 일방적으로 부과할 수 있지만, 일부 국가에는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할 것이라는 취지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 한국이 미국 자동차 업체보다 낮은 관세를 적용받는 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는 질의엔 "미국 자동차 업체들은 미국에서 차량을 파는 일에 너무 바빠서 그 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며 "그러나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매각 시한을 9월 17일까지 또 연장한 것과 관련, "틱톡을 살 사람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틱톡 구매자가 누구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은 채 "매우 부유한 사람들이다. 부유한 사람들의 그룹"이라고 밝혔으며, "중국 정부의 승인이 필요할 것 같고, 시진핑(중국 국가주석)이 그렇게 할 것이다. 약 2주 후에 말해주겠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재임 시기 제정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보조금에 대해 "이런 사기에 돈을 주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면서도 "하지만 일부 프로젝트는 이미 시작됐고,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면 중간에 있게 된다. 나는 그 점도 이해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노동력 의존도가 높은 농장이나 호텔 등에서의 불법이민자 단속과 관련해서도 "많은 사람이 하지 않을 힘든 일을 해온 사람들을 모두 데려가면 (미국인) 농부를 파괴하는 것"이라며 농장이나 호텔 소유주가 정부의 이민 단속을 제어할 수 있는 "일종의 임시 허가증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나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이민 정책 옹호자이지만, 가장 강력한 농민 옹호자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출처: 연합뉴스 06.30.2025>



美, 25% 관세 적용 차량부품 확대 전망…韓 업계도 타격 예상

미국 상무부가 25% 관세를 적용받는 자동차 부품의 종류를 늘릴 전망이다.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할 때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25% 관세를 내야 하는 자동차 부품의 범주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들은 오는 7월 1일부터 상무부에 관세 부과를 원하는 부품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상무부는 앞으로 매년 1월, 4월, 7월 10월에 업계의 요청을 접수할 방침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26일 포고문을 통해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할 당시 관세 대상 부품을 추가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라고 상무부에 지시했다. 상무부는 미국의 생산업체나 관련 협회가 특정 부품에도 관세를 부과해달라고 요청하면 60일 내로 부과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자동차 부품에는 지난 5월 3일부터 25% 관세가 기존 관세에 추가로 부과되고 있으며 현재는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부품, 전자부품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상무부가 관세 대상 자동차 부품 종류를 확대하면 미국으로 부품을 수출하는 업체와 수입 부품을 이용해 미국에서 자동차를 조립하는 업체들의 비용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자동차 부품업계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철강 관세의 경우 상무부가 지난 12일 50% 철강 관세 부과 대상이 되는 철강 파생제품 명단에 냉장고, 건조기, 세탁기 등 가전을 추가하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미국으로 가전을 수출하는 업체들도 관세 영향을 받게 됐다. 이는 미국 업체들이 가전제품에 사용된 철강에도 철강 관세를 부과해달라고 상무부에 요청한 데 따른 결정이었다.

<출처: 연합뉴스 06.27.2025>



당근없이 채찍만 든 트럼프…인도와 무역협정 체결에 도움될까

목표 달성을 위해 상대방을 몰아붙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스타일이 인도와의 협상에선 역효과를 내는 양상이다. 미국의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29일(현지시간) 한 때 낙관적으로 보였던 미국과 인도의 무역 협상이 난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인도 시장을 대폭 개방하라는 미국의 요구가 인도의 국내 정치 상황과 맞물려 협정 체결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당초 미국은 인도와 조기에 무역협정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됐다.

트럼프 정부가 출범한 직후 인도 쪽에서 먼저 적극적으로 무역 협상에 착수했고, 농산물과 에너지 구매, 비관세 장벽 개선 등 일부 사안에 대해 합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27일 백악관 행사에서 인도와의 무역 협상에 대해 "전면적인 무역 장벽 철폐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믿기 어렵겠지만 합의가 돼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장관도 "양국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지점에 도달했기 때문에 조만간 인도와의 협정이 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인도와의 무역협정 체결 시점은 트럼프 행정부가 기대하는 것처럼 임박하지 않았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미국은 인도에 대해 시장을 개방하라고 강력하게 압박하면서도, 인도에 대한 관세는 일부만 철회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채찍만 휘두르고 당근을 주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의 접근법이 오히려 역풍을 불렀다는 것이다. 시에드 악크바루딘 전 유엔 주재 인도대사는 "인도인들이 가장 분노하는 것은 자국 정부가 외국 지도자에게 굴복하는 모습"이라며 "상호 이익이 될 수 있었던 무역협정이 이제 미국에 대한 조공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인도의 국내 여론을 전혀 감안하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의 언행도 이 같은 분위기에 일조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미사일 공격을 주고받은 인도와 파키스탄을 자신이 중재했다고 주장해왔지만, 인도는 파키스탄 문제에 대해선 제3국의 중재를 수용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도 "인도는 과거에도 제3국의 중재를 받아들인 적이 없고, 앞으로도 결코 없을 것"이라면서 불편한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에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서 같은 주장을 펼쳤다. 또한 백악관에서 파키스탄 군부 실세인 아심 무니르 원수를 접견하면서 인도에선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불신이 증폭했다는 것이다.

미국-인도 전략 파트너십 포럼의 무케시 아기 대표는 "지금 분위기에선 인도 정부가 어떤 결정을 내려도 국민 눈에는 트럼프에게 굴복한 것으로 보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도의 복잡한 국내 사정도 협상 타결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인도가 세계 주요 경제국 중 가장 높은 17%의 평균 관세율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수백만 명에 달하는 소규모 농업 종사자들을 보호하겠다는 것이다. 소규모 농업 종사자들은 인도에서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모디 총리도 물러설 수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임기 때도 인도와의 무역협정을 추진했지만, 농산물과 IT, 의료기기 시장 접근권 확대라는 핵심 의제를 둘러싼 이견 때문에 결국 협정을 포기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과 인도는 다음 달 초까지 1단계 수준의 예비 협정을 발표할 가능성이 있지만, 완전한 양자 무역 협정은 최소 1년 이상 더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출처: 연합뉴스 06.30.20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