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X Market News【Week 44】
Page Info
Writer BNX Date25-11-03 15:52 View6Times Reply0link
Content

컨운임지수 1400선 회복…美 서안 2000달러 돌파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지수가 3주 연속 오르며 1400선을 돌파했다.
상하이해운거래소에 따르면 10월24일자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403.46을 기록, 전주 1310.32와 비교해 7.1% 올랐다. 중남미를 제외한 항로에서 운임이 상승하면서 SCFI는 6주 만에 1400선을 회복했다. 해양진흥공사는 “선사들의 공급 조절과 운임 회복으로 SCFI가 올랐다”고 말했다.
구간별 운임은 상하이발 북미 서안행은 40피트 컨테이너(FEU)당 2153달러, 동안행은 3032달러를 기록, 전주 1936달러 2853달러와 비교해 11.2% 6.3% 각각 올랐다. 5주 만에 서안은 2000달러를, 동안은 3000달러를 각각 넘어섰다.
상하이발 북유럽행 운임은 20피트 컨테이너(TEU) 기준 전주 1145달러에서 8.8% 상승한 1246달러, 지중해행은 1613달러에서 9.4% 오른 1764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이 밖에 상하이발 중동(두바이)행 운임은 전주 1248달러에서 14.1% 오른 1423달러, 호주(멜버른)는 1311달러에서 5.6% 상승한 1385달러, 동남아(싱가포르)는 449달러에서 3.8% 인상된 466달러로 각각 기록하며 SCFI 상승을 이끌었다.
반면, 중남미 동안(산투스)은 전주 2658달러 대비 1.5% 하락한 2619달러, 중남미 서안(만사니요)은 1738달러에서 2.1% 떨어진 1703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한국발 해상운임(KCCI)은 2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한국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10월27일 현재 KCCI는 1719로, 전주 1698과 비교해 1.2% 올랐다.
FEU 기준 한국발 북미 서안행 운임은 전주 2040달러에서 2.5% 오른 2091달러, 북미 동안행은 2925달러에서 1.9% 상승한 2981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또 한국발 유럽행과 지중해행은 전주 1955달러 2232달러에서 0.9% 4.3% 각각 인상된 1972달러 2327달러였다.
이 밖에 호주와 중남미 서안, 동남아시아는 전주와 비교해 0.6% 2.3% 0.4% 상승한 2543달러 2388달러 836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중동행은 전주 2125달러에서 2.9% 하락한 2062달러, 중남미 동안행은 3007달러에서 0.4% 떨어진 2994달러, 서아프리카행은 3575달러에서 0.5% 내린 3557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출처: 코리아쉬핑가제트 10.30.2025>
亞 - 북미 수출항로, 9월 ‘컨’ 운송량 10% 감소...3개월만에 하락세. 중국 선적 20% 줄어
일본해사센터가 발표한 9월 아시아 18개국 지역발 미국향(북미 수출항로) 컨테이너 운송량(추정치)은, 전년 동월 대비 10% 감소한 181.3만TEU를 기록해, 3개월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고 일본해사신문은 보도했다. 아세안과 남아시아에서의 물동량이 계속 증가한 한편, 대략 절반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중국 선적이 20% 감소로 부진해 전체를 끌어 내렸다는 것이다.
일본해사센터는 “NRF(미국소매업협회)도 물동량의 정점이 7 - 8월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주택 시장의 침체와 관세 영향으로 인해 증가를 보이는 상황이 아닌 감소로 전환됐다”고 분석했다.
국가 지역별에서는, 중국이 22% 감소한 87만TEU, 한국은 16% 감소한 9.3만TEU,일본 선적이 11% 감소한 4.4만TEU, 대만은 15% 감소한 4.8만TEU였다. 이에 반해 태국은 13% 증가한 11.3만TEU, 베트남은 12% 증가한 31.3만TEU, 인도는 8% 증가한 11.7만TEU로 견조했다. ASEAN 전체적으로는 13% 증가한 59.5만TEU, 남아시아도 10% 증가한 15.3만TEU로 확대됐다.
품목별에서는 점유율 1위인 가구, 침구 등이 10% 감소한 28.6만TEU, 섬유류 및 그 제품이 11% 감소한 18.9만TEU, 기계류는 6% 감소한 17만TEU로 상위 품목이 모두 감소했다. 전기기기, AV기기 등도 15% 감소한 13.7만TEU, 완구, 오락용구, 스포츠용품은 20% 감소한 12.8만TEU로 부진했다.
미국내 지역별 구성비는, 서안 52.6%, 동안 35.1%, 걸프 7.5%, 기타 4.8%였다. 운임시황(드류리 조사, 40피트당)은 상하이발 LA향이 2801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2% 하락했고, 상하이발 뉴욕향은 3896달러로 43% 하락했으나, 전월 대비에서는 모두 상승했다.
미국발 아시아향은 2% 증가
7월 미국발 아시아향(북미 수입항로) 컨테이너 운송량은 전년 동월 대비 2% 증가한 47.6만TEU로 2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일본향이 9% 감소한 4.6만TEU, 중국향은 40% 감소한 6.4만TEU로 크게 감소했다. 한편 베트남향은 98% 증가한 5.9만TEU, 인도향도 24% 증가한 5.8만TEU로 견조했고, ASEAN 전체적으로는 27% 증가한 18.8만TEU, 남아시아도 18% 증가한 7.5만TEU로 견조했다.
품목별에서는, 목재펄프, 폐지, 판지 등이 6% 증가한 9.3만TEU, 채소, 곡물, 과일, 채유용 종자, 차 등이 8% 증가한 6.9만TEU로 증가를 견인했다. 플라스틱 및 그 제품은 13% 증가한 4.7만TEU로 상위 품목 중에서 가장 기여도가 높았다.
9월 컨테이너 운임은 LA발 상하이향이 40피트당 12% 상승한 840달러, 뉴욕발 상하이향은 4% 하락한 1026달러였다.
<출처: 쉬핑뉴스넷 10.29.2025>
미·중, ‘항만입항 수수료’ 1년간 상호 유예 합의 … 선사들, “불확실성 지속 불구 한숨 돌려”
미국과 중국이 상호 항만입항 수수료(Port Call Fee)를 1년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어제(30일) 경주서 미중 정상들의 회담으로 합의된 내용중 물류공급망 시장의 관심을 끈 내용은 항만 수수료 적용 유예이다.
그러나 1년간 유예라는 단서가 붙으면서, 다른 주요 무역 쟁점과 함깨 미중 무역 및 관세 갈등은 내년 4월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방문 시기까지 임시 봉합된 수준에 그쳤다는 평가이다.
양국의 이번 합의는 한 달 전부터 시행된 항만 수수료 제도를 상호 유예하는 조치로, 중국 상무부는 “미국은 무역법 섹션 301 조항에 따른 항만 수수료를 중단하고, 중국은 이에 대응한 보복조치를 12개월간 유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수수료 중단의 구체적인 시행일 등 세부사항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점에 주요 태평양 항로 선사들은 여전한 불확실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시장 전문가는 “항만 수수료와 365일 유예기간을 둘러싼 오락가락 행보는 업계의 불확실성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일부 선사는 이미 제재를 감안해 노선을 조정하거나 운항 계획을 수정한 상태다.”라고 지적하면서, 이미 중국 정부가 미국 관련 지분이 25%를 초과하는 선박에 항만 수수료를 부과하면서, 그 첫 피해 사례로 중국 선사 코스코(Cosco)가 intra-Asia(역내) 노선에서 중국 기항을 취소하는 등 실질적인 제재가 진행중이라는 점에서 시장은 더욱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다만 이번 합의로 항로 조정과 과도한 blanked sailing 확산은 줄어들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주요 선사들의 blanked sailing 중 상당수는 골든위크 영향이 아닌, 미·중 항만 수수료와 관련된 미중 노선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그러나 이번 합의로 당분가 이같은 인위적인 선복 조정을 현저하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한편 이번 미중 관세 합의의 주요 내용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국 펜타닐 IEEPA 관세를 20%에서 10%로 인하하는 대신, 중국은 희토류 수출통제를 1년간 유예하고, 동시에 대두 및 농산물을 즉시 구매하다는 것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과연 물류 운송시장이 이번 미중 합의를 “여전한 불확실성의 지속”으로 인식할지. 반대로 “최종 협상으로 가는 마무리 수순”으로 받아들일지 주목된다.
<출처: 카고프레스 10.31.2025>
“중국 부품 30% 넘으면 관세 40%” 새로운 복병 등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 중인 ‘원산지 30% 룰’이 미국과 관세협정을 타결한 나라에 새로운 복병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 룰은 중국산 부품이나 소재 비중이 30%를 넘는 제품에 40%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이다.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새로 규정할 원산지 기준이 “이미 어렵게 타결된 무역협정을 뒤흔들 수 있다”고 보도했다.
특정 국가에서 수출되더라도 원산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최대 40%의 고율 특별관세가 부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시아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의 웬디 커틀러 부소장은 “이건 잠복해 있는 핵심 이슈”라며 “겉으로는 기술적 문제처럼 보이지만, 결국 트럼프 행정부 무역정책 전체를 좌우할 핵심 사안”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월 2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말레이시아·캄보디아·태국·베트남과 무역협정, 핵심광물 협력 협정 등을 연이어 맺었다.
협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 국가들에 대한 기존의 초고율 관세를 일부 완화하고, 19~20% 수준의 과세 체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으로 수출되는 제품에 외국산 부품이나 소재 비중이 30%를 넘으면 ‘우회수출’로 간주해 특별관세를 부과하는 ‘원산지 기준 30% 룰’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세계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상당수의 부품과 소재는 중국산이다.
나사를 고정하는 금속과 나무를 잇는 접착제, 스마트폰 배터리에 들어가는 광물까지 중국에서 공급되고 있어 대부분의 동남아 제조업체는 이 기준을 충족하기 어렵다.
‘외국산 부품이나 소재’를 두고도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외국 자본이 투자한 공장, 외국 브랜드의 기계, 외국인 근로자가 생산에 참여한 경우까지 포함되는지 불분명하다.
많은 중국 기업이 베트남 등으로 공장을 이전했지만, 현지 공급망을 구축하고 현지 인력을 고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시아 컨설팅기업 APAC어드바이저스의 스티브 오큰 대표는 “이건 사실상 미국 수출품을 전담 감시할 새로운 기관을 하나 만드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무역 전문가 데버러 엘름스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진퇴양난에 빠져 있다”며 “아무리 협상력을 갖고 있다 해도, 결국 미국과 중국에 비하면 경제 규모가 너무 작다”고 말했다.
<출처: 한국무역신문 10.31.20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