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X Market News【Week 37】
Page Info
Writer BNX Date25-09-15 17:26 View38Times Reply0link
Content
컨운임지수 1400선 보합…‘유럽 하락’ vs ‘북미 회복’
북유럽과 지중해, 중동, 호주 노선에서 운임이 하락하면서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지수가 한 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상하이해운거래소에 따르면 9월5일자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444.44를 기록, 전주 1445.06과 비교해 소폭 내리며 5주 연속 1400선을 이어갔다. 해양진흥공사는 “북미항로는 9월 운임인상 효과로 반등했으나 유럽항로 약세가 이를 상쇄하며 종합지수는 소폭 하락했다”고 말했다.
구간별 운임은 상하이발 북유럽행 운임은 20피트 컨테이너(TEU) 기준 전주 1481달러에서 11% 하락한 1315달러, 지중해행은 2145달러에서 8% 내린 1971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북유럽은 6주 연속, 지중해는 13주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또 상하이발 중동(두바이)행 운임은 전주 1579달러에서 4% 떨어진 1519달러, 호주(멜버른)행은 1325달러에서 1% 내린 1313달러, 남미 서안(만사니요)은 2636달러에서 10% 하락한 2363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반면, 40피트 컨테이너(FEU)당 상하이발 북미 서안행은 2189달러, 동안행은 3073달러를 기록, 전주 1923달러 2866달러와 비교해 14% 7% 각각 인상됐다. 서안과 동안 모두 운임이 2주 연속 상승했다.
또 서아프리카(라고스)는 3977달러에서 1% 오른 3994달러, 동아프리카(몸바사)는 2509달러에서 1% 인상된 2528달러, 남미 동안(산투스)은 3027달러에서 6% 상승한 3199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한국발 해상운임(KCCI)은 12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9월8일 현재 KCCI는 1950으로, 전주 1909과 비교해 2% 상승했다. 북미 서안과 동안이 두 자릿수의 상승률을 보이며 운임 회복을 이끌었다.
FEU 기준 한국발 북미 서안행 운임은 전주 1871달러에서 20% 급등한 2253달러, 북미 동안행은 2923달러에서 10% 오른 3224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또 한국발 호주행과 남미 서안행은 전주 2439달러 3036달러에서 2% 1% 각각 인상된 2489달러 3051달러였다.
반면, 유럽행은 전주 2797달러에서 9% 내린 2545달러, 지중해행은 2931달러에서 4% 하락한 2813달러, 중동행은 2366달러에서 1% 떨어진 2333달러, 동남아시아행은 947달러에서 3% 내린 918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출처: 코리아쉬핑가제트 09.11.2025>
인도 문드라항, 월간 최대 컨테이너물동량 기록...북인도 간 내륙물류는 병목현상 심화
인도 문드라항이 월간 최대 컨테이너물동량을 기록했다. 북인도 간 내륙물류는 병목현상이 심화됐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권보배 전문연구위원이 외신을 인용해 발표한 바에 따르면 ’25년 8월 DP World의 문드라 국제컨테이너 터미널(MICT, Mundra International Container Terminal)은 14만2,273TEU를 처리하며 역대 최대 월간 물동량을 기록했다.
이 기록은 ’25년 3월 기록한 13만8,983TEU를 넘어서는 성과로 인도의 주요 무역관문으로서 문드라항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문드라항은 극동,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유럽, 미국 등 주요 글로벌 시장과 직연결돼 인도 수출입 물동량의 핵심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다. 반면, 같은 시기 문드라항의 심각한 항만 혼잡으로 인해 북인도 내륙 화물의 철도운송 지연으로 수출입 물류 또한 지연되고 있다.
문드라항은 철도가 컨테이너 운송 물동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북인도 내륙 컨테이너기지가 물량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기 기항 선사들은 육상 정체로 인해 공급망 위험이 커지고 있으며, 선사들은 철도 회차가 점점 더 혼란스러워지고 있다고 고객들에게 통보했다.
머스크는 고객 공지를 통해 현재 문드라항으로 향하는 철도 운행이 정체되고 있어, 수출 열차의 정시 배차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수입 컨테이너 반출에도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입 물동량 적체로 철도 야드 내 입출고 흐름의 기본인 선입선출이 적용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인프라 부족이 병목의 구조적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업계 관계자들은 이에 따른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GDL(Gateway Distriparks)은 문드라항으로 향하는 열차 이동이 매우 느려진 상태이며, 현재 인도 철도청과 긴밀히 협의하며 철도 운행 속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 컨테이너열차운영자협회(ACTO, Association of Container Train Operators)는 내륙 인프라시설의 부족을 항만 혼잡 원인으로 진단하고 있다.
Manish Puri ACTO 회장은 “증가하는 물동량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항만 철도 처리능력과 반출 인프라를 확충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소규모 수요 증가 혹은 외부 요인에 따른 문제 발생 시 반복적인 혼잡이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항만 터미널과 컨테이너 철도운영사 간 책임 공방도 격화되고 있다.
한 항만 관계자에 따르면 수입량 급증으로 인한 압박은 인정하나 철도운영사들은 수출화물 대해 여전히 ‘열차 만차 후 출발’이라는 관행을 고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Sunil Vaswani 인도 컨테이너해운선사협회 전무는 “터미널과 철도운영사들 간 조정이 필요하며, 축제 시즌으로 인한 트럭 운전사 부족과 선박의 일시적 집중 입항 현상도 문제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언급했다.
문드라항은 처리능력 한계에 직면했으며, 컨테이너 장치량이 20,000TEU까지 증가했다. 문드라항은 일일 최대 30편의 열차를 처리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보통 하루 5,000~6,000TEU를 철도로 반출하고 있다.
야드 내 수입 컨테이너 창치량은 평균 15,000TEU이나 최근 20,000TEU 수준까지 급증했다. 문드라항은 아다니 포트 그룹의 주력 항만으로 5개의 컨테이너 터미널이 운영 중이며, 기존 처리 능력의 90% 이상을 이미 사용 중이다.
한편 경쟁항인 나바셰바항은 최근 PSA 인터내셔널의 2단계 운영 개시 이후 물동량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25년 4월부터 8월까지 나바셰바항의 물동량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330만TEU를 기록한 반면, 문드라항은 350만TEU 수준으로 보합세를 보였다.
권 전문연구원은 국내 물류기업의 인도 시장 진출 및 운영 전략 설계 시 현지 철도 및 내륙기지 인프라의 병목 리스크를 반영한 공급망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항만-철도 연계 불안정성에 대비한 멀티모달 운송 체계 및 재고 분산 전략도 함께 고려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북인도 향 물류 서비스 제공 시, 문드라항 외 대체 항만(나바셰바 등) 활용 전략 마련도 병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출처: 쉬핑뉴스넷 09.15.2025>
美상무 "한국, 무역협정 수용하거나 관세 내야…유연함 없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11일(현지시간) 현재 교착 상태에 빠진 한미 관세 및 무역협정과 관련, 미국과 큰 틀에서 합의한 대로 수용하거나 관세를 인하 합의 이전 수준으로 내야 한다고 압박했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미 CNBC 방송 인터뷰에서 "한국은 (이재명) 대통령이 (워싱턴에) 왔을 때 서명하지 않았다. 그가 백악관에 와서 우리가 무역에 관해 논의하지 않은 것을 알고 있을 텐데 그건 문서에 서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나는 그들이 지금 일본을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유연함은 없다"며 "일본은 계약서에 서명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면서 "한국은 그 협정을 수용하거나 관세를 내야 한다. 명확하다. 관세를 내거나 협정을 수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지난 7월 30일 큰 틀에서 합의했지만, 한국의 대미 투자 기금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 이견을 보이는 한미 무역 합의에 대해 미국이 요구하는 대로 받아들이라는 압박으로 풀이된다.
수용하지 않을 경우 한국에 대한 국가별 관세(이른바 상호관세)는 한미간 무역 합의에 따라 인하된 현재의 15%가 아닌, 당초 책정한 25%로 올라갈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한미 무역협정 최종 타결을 위한 협상은 한국의 대미 3천500억 달러(약 486조원) 투자 패키지를 어떻게 구성하고, 어떤 방식으로 투자를 결정할지, 투자 이익을 어떻게 배분할지를 놓고 이견이 커 난항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8일 한국의 실무협상 대표단이 미 상무부 및 무역대표부(USTR) 관계자들을 만나 협상을 벌였지만 합의 도출을 하지 못했고,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러트닉 장관 등과의 협의를 이어가기 위해 이날 미국에 도착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 역시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앞으로도 한참 더 협상해야 된다"면서 "좋으면 사인해야 하는데, 이익되지 않는 사인을 왜 하나? 최소한 합리적인 사인을 하도록 노력해야 되겠다. 사인 못 했다고 비난하지는 마라"라고 말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러트닉 장관은 일본과의 협정에서 5천500억 달러 투자의 방식에 대해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등 송유관 건설 프로젝트를 예를 들며 설명했다.
그는 "대통령이 승인하면 건설 인력을 고용하고 일본에 자본을 요구한다. 그들은 돈을 보내고 우리는 파이프라인을 짓는다"며 "현금 흐름이 시작되면 일본이 투자금을 회수할 때까지 미국과 일본 정부가 50대 50으로 수익을 나눈다. 미국은 5천500억 달러를 만들고, 이후에는 미국이 수익의 90%를 가져간다"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인터뷰에서 무역대상국과의 무역협정 체결로 인해 미국에서 10조 달러(약 1경3천900조원) 이상 규모의 공장 건설이 진행되고, 미국의 건설 부문 일자리가 내년 1분기에 사상 최고를 기록해 내년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를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번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한국인 노동자들이 구금·체포됐던 사태가 이러한 건설에 쓰일 충분한 인력에 영향을 미칠지를 묻자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러트닉 장관은 대신 "우리는 직업학교, 커뮤니티 칼리지가 필요하다. 주립대들도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시작해야 한다"며 "그래서 트럼프 대통령이 하버드대와 논쟁 중이며, 하버드대가 트럼프와 합의한다면 하버드에 직업학교를 짓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이번 한국인 단속 사태에서 불거진 외국의 전문 인력 비자 문제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이 나서서 해결할 것"이라며 "그는 위대한 공장을 건설하려면 그 공장을 지어본 사람들의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그들(외국 기업)이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지으려 할 때 그들의 노동자들이 단기 취업 비자인 적절한 비자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고, 미국인을 교육시킨 뒤 귀국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많은 국가들과 협정을 맺을 거라고 본다"며 "트럼프는 A는 들어와라, B는 미국인을 훈련시켜라, C는 본국으로 돌아가라 등 ABC 원칙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연합뉴스 09.12.2025>
美, EU 이어 G7에도 '러 원유 구매' 중국·인도에 고율관세 압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유럽연합(EU)은 물론 주요 7개국(G7)에도 중국과 인도에 최고 100%에 달하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라고 압박하고 나섰다.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는 이들 국가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2차 제재를 통해 전쟁자금 조달을 억제하고 러시아를 종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는 데 일조하라는 것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11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G7에 중국과 인도에 대한 관세 인상을 압박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은 EU에는 이미 지난 9일에 같은 조치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미 재무부 대변인은 "중국과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해 푸틴의 전쟁자금을 지원하고 있다"며 "이번 주 초 EU에 전쟁을 끝내고 싶다면 우리와 함께 의미 있는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분명히 했고, 이제 G7도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구체적인 관세 수치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사안에 밝은 관계자 등에 따르면 미국은 50∼100% 수준의 관세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진다.
미국은 이미 지난달부터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들어 인도에는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다만 중국에 대해서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다가 시행을 유예하는 등의 조치를 반복해왔으며, EU의 협력을 요구한 데 이어 G7의 동참도 압박하고 있다.
FT에 따르면 G7 재무장관들은 12일 화상회의를 통해 미국의 관세 인상 제안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다.
FT는 그러나 중국과 인도가 EU의 주요 교역국인 만큼 경제적 타격과 중국의 보복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미국이 요구한 수준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신 EU는 러시아 에너지 기업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역내에 러시아산 화석연료 수입을 완전히 중단하려는 계획을 당초 예정한 2027년에서 앞당기는 등의 조치를 통해 유사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미국을 설득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헝가리와 슬로바키아에 대한 미국의 압박이 필요하다.
친러 성향의 지도자가 집권하고 있는 헝가리와 슬로바키아는 러시아산 원유를 지속해서 구매하고 있으며 과거에도 EU의 대러 제재에 거부권을 행사해왔다.
G7 의장국인 캐나다도 입장이 난처하기는 마찬가지다.
캐나다는 인도와 '시크교도 암살사건'으로 갈등을 겪다 마크 카니 총리가 집권한 이후 관계 회복에 나섰으며 미국과의 무역전쟁 국면에서 중국과도 관계 개선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집권 이후 평화 중재자를 자처하며 우크라이나 종전에 공을 들여왔지만, 아직 이렇다 할 성과는 내지 못하고 있다.
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의 종전 압박에도 오히려 우크라이나 정부 청사를 공격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인 폴란드의 영공마저 침범하는 등 확전 우려만 키우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09.12.20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