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orldwide leader in global logistics

News Letter 목록

News Letter

BNX Market News【Week 35】

Page Info

Writer BNX Date25-09-01 18:42 View16Times Reply0

Content

c794d0f0126e7ded8d9c29e18158a752_1724999268_9925.png



“홍해사태 이전 수준 근접” 컨운임지수 3주 연속 1400선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지수가 11주 연속 떨어지며 홍해 사태 이전 수준까지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해운거래소에 따르면 8월22일 기준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415.36을 기록, 전주 1460.19와 비교해 3.1% 떨어졌다. 해양진흥공사는 “북미와 유럽항로 운임이 빠르게 하락하며 SCFI가 홍해 봉쇄 전인 2023년 12월 평균 수치인 1230 수준에 근접했다”고 말했다.

구간별 운임은 40피트 컨테이너(FEU)당 상하이발 북미 서안행이 1644달러, 동안행이 2613달러를 기록, 전주 1759달러 2719달러와 비교해 6.5% 3.9% 각각 떨어졌다. 서안과 동안 모두 운임이 6주 연속 하락했다.

또 20피트 컨테이너(TEU) 기준 상하이발 북유럽행 운임은 전주 1820달러에서 8.4% 내린 1668달러, 지중해행은 2279달러에서 2.4% 하락한 2225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이 밖에 서아프리카(라고스)는 4074달러에서 1.4% 내린 4015달러, 동아프리카(몸바사)는 2496달러에서 소폭 떨어진 2491달러, 동남아시아(싱가포르)는 406달러에서 2% 하락한 398달러, 남미 동안(산투스)은 3340달러에서 7% 내린 3107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 상하이발 중동행 운임은 전주 1381달러에서 7.1% 오른 1479달러, 호주(멜버른)는 1239달러에서 2.3% 상승한 1267달러, 남미 서안(만사니요)은 2385달러에서 3.8% 오른 2475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한국발 해상운임(KCCI)은 10주 연속 하락곡선을 그렸다.

한국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8월25일 현재 KCCI는 1940으로, 전주 1993과 비교해 2.7% 떨어졌다. 호주를 제외한 전 노선에서 운임이 하락했다.

FEU 기준 한국발 북미 서안행 운임은 전주 1904달러에서 2.9% 하락한 1849달러, 북미 동안행은 2996달러에서 3.2% 내린 2899달러, 유럽행은 3110달러에서 4.5% 떨어진 2969달러, 지중해행은 3120달러에서 3.5% 떨어진 3012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또 한국발 중동행과 남미 동안행, 남미 서안행, 서아프리카행은 전주 2440달러 4397달러 2955달러 4491달러에서 2.7% 7.2% 0.1% 3.3% 각각 하락한 2375달러 4080달러 2954달러 4343달러였다.

반면, 호주행은 전주 2256달러에서 4.4% 오른 2356달러로 집계됐다.  

<출처: 코리아쉬핑가제트 08.28.2025>



‘LA항 신기록 경신’ 북미서안 항만, 관세특수 만끽

이달 7일부터 본격 시행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변동된 관세 정책을 앞두고 올해 북미서안 주요 항만의 물동량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가장 많은 화물이 오가는 로스앤젤레스(LA)항은 6월과 7월 모두 역대 최대 물량을 기록했다. 

미국은 8월7일부로 한국을 비롯한 무역 상대국에 각 나라별로 조정된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8월18일부터는 관세 부과 대상인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에 407개 품목을 추가하면서 정책을 확대 시행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올해 2월 캐나다 중국 멕시코를 대상으로 관세율 인상을 예고하면서 관세 폭탄의 서막을 알렸다. 3월부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품목관세를 부과했으며, 4월부터는 25%의 자동차 품목관세와 10%의 보편관세를 도입했다. 4월엔 국가별로 상호관세를 적용하기로 했으나 돌연 90일간 유예를 발표하며 협상을 진행했다. 현재 미국의 상위 15개 무역국 가운데 11개국은 관세율 인상 시행 전 협정을 체결했으며, 우리나라는 지난달 협상 결과에 따라 상호관세 15%가 부과됐다.

각 항만 당국에 따르면, 북미 서안 주요 7개항의 올해 1~7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대비 견실한 성장세를 띠었다. 대부분의 항만에선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이 발효되기 전인 1월과 7월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주로 미국으로 향하는 화물을 처리하는 밴쿠버 프린스루퍼트 등 캐나다 항만까지도 물동량 증대 효과를 봤다. 7개 항만의 7개월 물동량은 전년 대비 7% 늘어난 총 1720만1600TEU로 집계됐다.

LA 롱비치 오클랜드 등 서안 남부(PSW) 항만은 1301만2500TEU의 화물을 처리, 1년 전보다 7% 증가했다. 시애틀·터코마 밴쿠버 프린스루퍼트 등 서안 북부(PNW) 항만은 6% 증가한 418만9100TEU를 처리했다. 관세 유예 기간 마지막 달인 7월만 두고 보면 LA 롱비치 오클랜드 항만은 각각 9% 7% 10% 증가했고, 밴쿠버 프린스루퍼트 항만도 각각 13% 23%의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같은 달 시애틀·터코마항만 -10%의 후진 행보를 보였다. (해사물류통계 ‘2025년 1~7월 북미서안 주요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참고)

LA·롱비치 항만물동량 각각 5% 10% 증가

LA항은 올해 5월을 제외하고 7월까지 매월 전년 대비 성장했다. 7개월 동안 총 물동량 597만5600TEU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5% 증가했다. 1월과 6월 물동량은 각각 92만4200TEU 89만2300TEU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41f8c9aea2d8d736e40556082ce412_1756719704_4612.png 

6월 물동량은 지난해보다 8% 증가했으며 전월과 비교하면 32% 급증했다. 특히 수입화물은 전년 동월 대비 10% 늘어난 47만600TEU로 집계됐다. 관세 발효 직전인 7월엔 화물이 몰리면서 101만9800TEU를 기록, 2021년 5월 이후 4년 2개월 만에 100만TEU가 넘는 물량을 처리했다. 7월 최대 물동량이자 LA항 역사상 2번째로 많은 물동량을 기록했다. 수입화물 또한 9% 증가한 54만4200TEU의 물동량으로 최대 기록을 작성했다.

LA항은 5월에 유일하게 물동량이 9% 줄었다. LA항만청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영향으로 5월 물동량은 둔화됐으며, 이후 무역 협정이 유예된 6~7월 연말 화물을 미리 반입하려는 추세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LA항 다음으로 많은 화물이 오가는 롱비치항은 1~7월 물동량이 전년 동기간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나타냈다. 5~6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으나 전반적으로 보면 물동량은 늘었다. 7개월간 569만900TEU의 물동량으로, 1년 전보다 10% 증가했다. 다만 5월과 6월 각각 63만9200TEU 70만4400TEU의 화물을 처리하며 전년 동월 대비 8% 16% 감소한 성적을 냈다. 항만청은 미국 내 소매업체들이 관세와 관련해 물량을 미리 비축한 게 실적 감소 원인이 됐다고 해석했다.

반면 7월 들어서는 전년 동월 대비 7% 증가한 94만4200TEU를 처리했다. 역대 7월 최대이자 항만 역사상 3번째로 많은 수치다. 수입화물은 8% 증가한 46만8100TEU, 수출화물은 13% 감소한 9만1300TEU로 집계됐다.

한편 시애틀·터코마항은 7개 항만 가운데 유일하게 7월 물동량 감소를 맛봤다. 5월을 제외하고 매월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으나 7월엔 10% 감소한 18만4200TEU를 처리하는 데 그쳤다. 이 항만을 담당하는 노스웨스트항만연합(NWSA) 측은 이달에 블랭크세일링(임시결항)과 선박 지연 도착이 발생하면서 물동량 변동이 심했다고 설명했다.

북미서안 수입화물 전년比 5%↑

북미 서안 7개 항만의 7개월간 수입 물동량은 강세를 그렸다. 이 항만들은 총 877만9900TEU의 수입화물을 처리, 1년 전 실적인 834만7100TEU보다 5% 증가했다. 항만별로 ▲LA항 309만4900TEU(+4.2%) ▲롱비치항 286만800TEU(+9.1%) ▲오클랜드항 66만7200TEU(+2.3%) ▲시애틀·터코마항 75만200TEU(+0.9%) ▲밴쿠버항 113만7700TEU(3.3%) ▲프린스루퍼트항 26만9200TEU(+4.8%)였다.

이 같은 물동량 증가로 미국이 7월 한 달간 벌어들인 관세 수입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최근 미국 재무부의 집계에 따르면, 미국은 7월 290억달러(약 40조원)가 넘는 관세 수입을 거뒀으며 관세 수입은 지금까지 총 1520억달러(약 211조원)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 유예 기간인 4~7월 동안 ‘밀어내기 수요’가 발생하면서 해상운임도 등락을 거듭했다. 중국 상하이해운거래소가 발표한 중국발 미 서안행 해상운임은 4월 중순부터 6월 초까지 지속 상승하다가 급격히 내리막길을 걸었다. 현재 기준 북미서안 운임은 TEU당 1759달러다. 한국발 해상운임(KCCI) 또한 4월 중순부터 주간 컨테이너 운임이 6주간 상승하며 6월 둘째 주 40피트 컨테이너(FEU) 기준 5000달러를 넘어섰다. 이후 빠르게 하락해 8월 셋째 주 현재 1904달러다.

한편, 미국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제232조를 근거로 관세 대상에 철강·알루미늄 파생제품 407개 품목을 추가, 8월18일부터 관세율을 인상했다. 변압기, 가전제품, 건설기계, 자동차 부품 등이 주요 영향 품목이다. 향후 파생제품 추가 절차는 미국 산업계 요청에 따라 1·5·9월 정례적으로 운영되며, 2차 추가 절차는 9월1일 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무역협회(KITA)는 최근 보고서에서 현재 미국은 자국 산업계가 요청하면 철강·알루미늄의 함량이나 수입 물량의 증가 여부와 관계없이 의견이 수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우려했다. KITA는 철강·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는 대미 수출기업은 함량 확인과 원산지 입증을 사전 대비한다고 조언했다.

<출처: 코리아쉬핑가제트 08.29.2025>



미완의 관세협상…미국, '자동차 볼모'로 압력 지속하나

한미 정상이 지난 25일(현지시간) 첫 정상회담에서 관세 협상 타결 결과를 큰 틀에서 승인하고 향후 각론 협의로 넘어가기로 해 일단은 통상 안정화 기반을 닦았다는 평가다.

다만 관건인 총 3천500억달러(약 486조원) 대미 투자 패키지 구체화 방안을 놓고 양국 간 인식차가 있다.

미국은 한국이 먼저 약속을 이행해야 자동차 관세 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으로 알려져 자동차를 지렛대 삼은 미국의 대(對)한국 통상 압력이 상당 기간 지속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자동차 관세인하 기약 없는 미국…대미 수출 부담 지속

앞서 한국은 미국에 1천500억달러 조선업 전용 투자 패키지와 여러 전략 산업 투자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2천억달러 범용 투자 패키지까지 묶은 총 3천500억달러의 투자 패키지와 1천억달러 에너지 구매 계획을 제시해 관세 인하 약속을 끌어냈다.

31일 정부와 통상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이 한국에 약속한 관세 인하는 대한국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 향후 도입을 예고한 반도체·의약품 관세 등 크게 3가지다.

우선 미국은 관세 협상 타결 직후인 8월부터 당초 25%로 예고한 대한국 상호관세를 15%로 낮춰 적용 중이다.

상호관세는 이미 별도 품목 관세를 부과하는 철강·자동차나 향후 품목 관세 도입을 예고한 반도체와 IT 제품군 등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 상품이 대상이다.

아울러 미국은 지난 4월부터 전 국가에 적용 중인 25%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했다.

그러나 미국은 한국산 자동차 관세 인하를 언제부터 할 것인지 명확한 입장을 밝힌 적이 없다.

반도체·의약품도 '최혜국 대우'를 하겠다고 했지만 최근 유럽연합(EU)에 확정한 '최고 15%'의 세율을 한국에도 적용할 것인지 문서화된 약속을 하지는 않았다.

이에 따라 7월 30일 관세 협상 타결 이후 한 달이 지났지만 한국이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에는 여전히 25%의 고율 관세가 부과 중이다.

이런 상황은 비단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미국은 EU와 일본에도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했지만 구체적인 이행 계획을 내놓지 않았다.

관세 장벽 가동으로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대미 자동차 수출은 182억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15.1% 감소했다.

국제사회에서는 미국 정부가 관세 협상 타결 이후에도 자동차 관세를 지렛대 삼아 상대방에게 압력을 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미국은 EU와 처음 무역 합의를 문서화한 공동 성명을 발표하면서 상대방의 선 조치 이후 자동차 관세를 낮추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이에 EU는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산 공산품 관세를 전면 철폐하고 미국산 해산물과 민감하지 않은 농식품의 저율관세할당(TRQ) 물량을 늘려 특혜적 시장 접근권을 제공하는 내용을 담은 입법안을 발표하는 등 자동차 관세 인하를 실제 받기 위한 후속 조치를 서두르고 있다.

다만 EU의 이 같은 조치에 미국이 곧바로 호응할지는 확실치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미국이 한국에도 자동차 관세를 지렛대 삼아 대미 투자 패키지 이행 방식, 농산물 등 비관세 장벽 문제 해결을 도모하려 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한고비 넘긴 대미협상…투자패키지부터 사과·구글지도까지 난제 '산적'

한미 양국은 이번 정상회담을 앞둔 협의 과정에서 직접투자 비중 등 패키지 구성, 투자 의사 결정, 이익 귀속 등 문제를 놓고 견해차를 노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가에서는 이 같은 이유로 정상회담 공동성명이 도출되지 못했다는 얘기도 전해졌다.

아울러 민감한 농산물 분야에서도 미국이 한국의 '선 행동'을 요구하면서 '비관세 장벽' 해소를 촉구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 이번 관세 협상 타결 과정에서 미국에 '과채류 수입 위생 관련 양국 협력 강화'를 공식적으로 약속했다.

정부는 쌀과 소고기의 경우 이번 합의 대상에서 제외됐고, 검역 체계도 기존 틀 자체를 바꾸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농산물 추가 개방이 없다고 강조한다.

그렇지만 '한미 간 협력 강화'를 통해 사실상 중단 상태였던 미국산 농산물의 검역 절차 진행 속도가 전보다 빨라진다면 사과, 배, 복숭아 등 미국산 과채류의 한국 수입 일정이 빨라져 실질적인 과채류 중심 미국산 농산물 추가 수입 개방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은 특히 1993년 신청한 사과 검역은 20년 넘게 현재 8단계 중 2단계인 '수입 위험분석 절차 착수'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 강한 불만을 제기하면서 한국이 구체적 '시간표'를 내놓으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밖에 온라인 플랫폼법 도입, 구글과 애플이 요구한 정밀 지도 반출 허용과 같은 디지털 분야의 이슈들도 미국이 자동차 관세 인하 문제와 연계할 수 있는 휘발성이 큰 사안들이다.

통상 당국 관계자는 "외형적으로는 미국이 주요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했지만, 한국, EU, 일본이 누가 먼저 자동차 관세를 면제받느냐 하는 경쟁에 새로 돌입한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을 유념하고 관련된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9일 SBS 스에 출연해 '자동차 관세 15%가 언제 적용되는지'에 대해 "조속히 인하하기 위한 실무 협의 중"이라며 "당초 계획대로 15%로 인하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연합뉴스 08.31.2025>



'美 50% 관세' 맞은 印모디 "中과 협력해 세계 경제질서 안정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세계 경제가 불안정한 상태를 고려해 주요 경제국인 인도와 중국이 협력해 세계 경제 질서의 안정화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 등을 이유로 인도산 제품에 '보복성 50%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모디 총리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도쿄 정상회담을 앞두고 요미우리신문이 29일 보도한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요미우리는 모디 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를 언급하며 직접 비판하지는 않았지만, 미국 관세 조치를 의식하고 있는 듯했다고 해설했다.

모디 총리는 이날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 이후 톈진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7년 만에 중국을 찾는다.

그는 중국과 관계에 대해 "지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인도와 중국이 예측 가능하고 우호적 양국 관계를 구축하는 것은 지역과 세계 평화, 번영에 좋은 영향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는 중국과 5년 전 히말라야 분쟁 지역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로 갈등을 빚었으나 미국의 관세 압박이 심해지자 최근 중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모디 총리는 일본과 관계에 대해 "인도와 일본은 단순히 긴밀한 파트너가 아니며 전략적 전망을 공유하고 있다"며 이날 오후 이시바 총리와 회담에서 안전보장 협력 강화, 기술 혁신 추진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는 일본과 인도 방위 협력과 관련해 "양국에 있어 성공 사례"라면서 이번 회담에서 채택할 '안보 협력에 관한 공동선언'에서 양국이 군비 근대화와 방위산업 협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공동선언에 "다음 세대를 위해 안전하고 안정적인 인도·태평양을 구축한다는 의사를 진전시킬 것"이라고 명기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양국 정상은 2008년 서명한 안보 공동선언을 이번에 개정할 계획이다.

일본과 인도는 미국, 호주를 포함한 4개국 안보 협의체 '쿼드'(Quad) 회원국으로 중국을 견제하며 안보·경제 협력을 강화해 왔다.

일본 자위대와 인도군은 공동 훈련을 진행해 왔고, 양측은 '방위장비품·기술 이전 협정'과 군수 물자를 상호 지원하는 '물품·역무 상호제공 협정'(ACSA)을 체결했다.

모디 총리는 쿼드와 관련해 "실천적 해결책과 구체적 성과를 계속해서 내놓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쿼드 회원국으로서 일본과 파트너십을 중시하고 긴밀한 협력을 기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는 일본과 공급망 강화에 나설 것이라는 의욕도 비쳤다.

그는 "우리는 반도체를 포함한 신기술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며 "양국의 기술적 야심을 뒷받침하면서 국제적 공급망 안전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요미우리는 "인도 내에는 중국에 대한 경계감이 강하다"면서 '모디 총리가 방중 전에 일본을 찾는 것은 자국을 겨냥해 균형을 취하려는 모습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있다'는 외교 소식통 견해를 전했다.

<출처: 연합뉴스 08.29.20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